과정소개
|
병원코디네이터는 병원의 환자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지도해주는 컨설턴트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병원 직원에 대한 서비스 교육 및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컨설팅 업무를 담당하며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된 직종으로서 내부조직원과의 조종자로서, 병원경영의 주체로서 환자관리와 병원홍보, 인사관리등 병원 문화를 주도해 나갈 차세대 신 인재상입니다.
한마디로 의료 서비스 컨설턴트 전문가라고 할수 있는 변원 코디네이터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의료계의 현실과 의료 서비스에 대한 요구 상승으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로 부각되어 지고 있습니다.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치열한 경쟁을 겪고 있는 의료계 환경변화와 의료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고객의 요구로 이미 체인화*전문화된 병원에서는 병원경영의 성공 파트너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삶의 질과 더불어 의식이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더 높아지고 있는 시기에 병원코디네이터는 앞서가는 서비스 리더로서, 적극적인 의료마케터로서,병원 내 행동모델로서 앞으로 그영역이 더욱 더 확대될 것입니다.
|
수료
후 진로
|
◆ 환자의 고민이나 애로사항을 병원에 전달하고 환자를 병원으로 유도, 관찰하는 병원코디네이터 업무는 성격에 따라 기획/트리트먼트/서비스/리셉션 코디네이터로 나누어지는데 환자의 요구도와 만족도를 최대한 충족시킴으로서 고정 환자와 내원 환자의 배율을 높여 병원의 이미지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다.
Ⅰ) 기획 코디네이터 의료계의 변화와 시장 조사, 병원 문제점을 파악하고 고객 분석을 통해 병원 홍보 마케팅을 담당하고 병원 내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조율자로서 활동.
Ⅱ) 트리트먼트 코디네이터 병원 내 진료를 위해 코디네이터는 치료계획 수립,의사의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의사와 진료팀 간의 원만한 중재자로서 활동.
Ⅲ) 서비스 코디네이터 진료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간의 원활한 관계를 형성하는 역할
Ⅳ) 리셉션 코디네이터 수납과 예약업무, 전화 상담 및 불만 고객 응대, 병원 환경 조성.
Ⅴ) 이미지 코디네이터 병원 내 외부의 이미지관리, 고객 및 병원의 전반적인 이미지 컨설팅
Ⅵ) 재무 코디네이터 병원의 재무관리, 세무관리, 보험관리, 연간 사업 계획 수립과 실행 및 관리
|